본문 바로가기

언리얼/그래픽스

[Unreal] .abc 파일로 언리얼에서 시뮬레이션 실행하기

반응형

언리얼 내장 시뮬레이션 플러그인

언리얼엔진에는 Niagara라는 아주 좋은 파티클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이 있다.

하지만 런타임 기반의 파티클 시뮬레이션인 만큼 정밀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특정 효과(의류, 점성 유체)등을 나타내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런 경우 외부 DCC툴에서 미리 시뮬레이션은 bake 하여 언리얼에 가져오는 수밖에 없다.


임포트 세팅

이번 예시에서는 블렌더를 기준으로 하여 .abc를 임포트 하였다.

.abc가 있다는 가정하에 언리얼엔진에서 임포트 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임포트 세팅1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은 Import Type이다.

1. Import Type : Geometry Cache

파티클이 Geometry로 되어있고, 이 정보가 cache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Type을 변경한다.

 

2. Frame End

최적화를 위해 Frame End를 최대 길에 맞게 맞춰주거나 Skip Empty Frames at Start of Alembic Sequence를 체크한다.

 

 

임포트 세팅 2

 

3. Create Materials 체크 (옵션)

기본 머테리얼을 생성해서 바로 적용을 시킨다.

 

4. Preset(옵션)

DCC 툴의 프리셋값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시뮬레이션 결과

임포트가 완료되면 플레이 모드를 눌러 확인하면 된다.

 

언리얼 엔진에서 .abc 실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