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렌더 [Blender] 시뮬레이션 Bake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 2024. 5. 7. 증상 및 원인 블렌더에서 유체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도중 Cache를 Bake 하려고 할 때 Bake 버튼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이때 실행을 하면 분명 캐시는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재시작하면 높은 프레임으로 시뮬레이션이 실행된다), 이 상태에서는 여러 개의 캐시를 관리하거나 Release 하기가 어렵다.해결 방법Cache의 Type을 Replay가 아닌 All로 변경하면 된다. [Blender] 지오메트리 노드 사용법(1) - 노드 생성 및 조작 방법 2024. 4. 21. 지오메트리 노드 시작하기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이전에 지오메트리 노드를 사용할 수 있는 창을 하나 더 열어주어야 한다. 창을 열었다면 Geometry 노드를 추가해 주면 된다. 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새롭게 추가된 화면은 다음과 같은 상태이다. 여기서 Group Input과 Group Output 같은 큰 박스를 노드라고 하며, Geometry라고 하는 점은 소켓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 박스들을 이용해서 수학적으로 메쉬를 생성할 수 있다. (마치 후디니의 절차적 모델링이나 유니티/언리얼의 노드 그래프와 비슷하다.) 이때 소켓은 같은 색깔끼리만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색칠 작업을 할 때 페인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뜬금없이 망치를 사용하는 것을 막은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조작방법 .. [Blender] Automatic Weights 리깅 실패 해결 방법 (Bone Heat Weighting: failed to find solution for one or more bones) 2024. 1. 12. 에러 증상 및 원인 블렌더에서 Armature Deform - Automatic Weights를 통한 자동 리깅을 할 때 가끔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음과 같은 에러 로그를 내뱉으며 리깅이 되지 않는다. 이는 자동 리깅을 하는 과정에서 가중치 계산 알고리즘이 적절한 솔루션을 찾지 못하여 발생하는 이유다. 이러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버텍스가 지나치게 밀집되어 있는 경우 발생한다. 해결 방법 버텍스 개수 감소 첫 번째로 해볼 수 있는 것은 밀집된 버텍스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다. 가능하다면 리토폴로지를 진행해도 되지만,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우선 해결을 시도해 볼 수도 있다. 필자가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Edit Mode - Edge .. [Blender] 모디파이어 한 번에 적용하는 방법 (Modifier Apply) 2024. 1. 9. 블렌더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에 여러 개의 많은 모디파이어가 적용된 경우가 있다. 모디파이어를 하나씩 적용시키는것은 귀찮은 일이다. 이때 여러개의 오브젝트의 모든 모디파이어를 한 번에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다. 기존 방법 원래는 Modifiers에 있는 Modifier의 기능을 하나씩 Apply 해주어야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오브젝트가 여러 개일 경우 오브젝트마다 모두 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해결책 다음과 같이 Object Mode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Mesh로 변경해 주면 된다. [Blender] 지오메트리 노드 (Geometry Node) 2024. 1. 8. 지오메트리 노드란? Geometry Node를 우리말 그대로 직역하면 입체 도형 매듭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해석하면 지오메트리 노드는 노드를 사용해서 절차적으로 모델링을 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절차적 모델링은 무엇일까. '절차적'이란 뜻은 '일련의 절차와 순서에 따라'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모델링을 어떠한 순서에 따라 하겠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그 주체가 바로 '노드'라는 것이다. 결국 노드에 의해 순서대로 모델링이 되는 것을 절차적 모델링이라 한다. 지오메트리 노드 사용방법 블렌더에서 지오메트리 노드는 Blender 2.92 이상의 버전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Geometry Nodes 탭으로 이동하여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 사용 방법은 다음 포스팅부터.. [Blender] 머테리얼 베이크 (3) - 노멀맵 베이크 (Normal Map Bake) 2023. 12. 21. 노멀맵이란? 어떤 물체의 표면을 나타낼 때 색상정보는 Diffuse(혹은 Albedo)로 나타낸다. 그런데 색상 정보만 있는 오브젝트는 무언가 허전하고 입체감이 없다. 왜냐면 Albedo Map은 물체의 질감은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질감표현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물체의 질감을 나타내는 정보중 가장 큰 역할을 하는것이 노멀맵이다. (이 외에도 Roughness, Metallic 등이 필요하다.) 노멀맵이 빛에 따른 재질의 표현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노멀맵이 어떻게 재질을 표현할 수 있을까? 노멀맵은 광원에 따른 그림자 표현 방법을 2D 텍스쳐로 갖고있다. '빛이 어떤 방향에 있을 때 그림자는 어떻게 생긴다'라는 공식을 이미지 형태로 갖고 있는 것이다. (텍스쳐 형태로 갖고 있기 때문.. [Blender] 머테리얼 베이크 (2) - 디퓨즈/알베도맵 베이크 (Diffuse/Albedo Map Bake) 2023. 12. 20. 디퓨즈/알베도 맵이란? Diffuse와 Albedo 모두 3D 모델의 메인 컬러를 나타내는 텍스처이다.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Map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이유는 게임 엔진에서 텍스처 정보를 UV에 맞게 펼쳐서 나타내기 때문이다. 블렌더에서 어떤 재질을 제작하였을 때 이 정보를 게임 엔진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재질을 2D 텍스처로 변환하여 3D 모델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렌더에서 제작한 모델의 Diffuse 정보를 png텍스처로 변환한 후 Unity에서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었다. 블렌더에서 디퓨즈/알베도 맵 베이크 방법 예시를 위해 스웨터 질감의 재질을 절차적 머테리얼(Procedural Materail)로 제작하였.. [Blender] 머테리얼 베이크 (1) - 하이트맵 베이크 (Height Map Bake) 2023. 12. 20. 하이트맵이란? Height Map은 지형 혹은 오브젝트 표면의 UV정보 중에서 높낮이를 그레이 스케일로 나타낸 것이다. 1차원 형태의 텍스쳐이기 때문에 흑백(혹은 빨간색)으로만 나타낸다. 게임엔진에서는 이 정보를 Mask Map에 넣어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게임 엔진에서는 터레인(Terrain)에 많이 사용한다. 지형 정보의 높낮이를 나타낼 때 하이트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하이트맵을 DCC툴(블렌더)로 제작하고 베이크 하여 게임엔진(Unity)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하였다. 블렌더에서 하이트맵 제작 방법 하이트맵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냐에 따라 제작방식이 조금은 다르다. 3D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하이트맵은 일반적인 베이크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오브젝트의 경우 .. 이전 1 2 3 다음 1/3 반응형